전체 글
-
동화 [인어공주] 역사 및 내용 그리고 의의카테고리 없음 2023. 1. 11. 16:08
동화 [인어공주] 역사 1837년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이 세번째 작품집에 발표한 인어공주는 아름다운 문장을 통해 지고지순한 사랑을 그린 대표작품 중 하나이다. 인어공주의 모티브는 슬라브신화에 내려오는 인어 루살카전설과 푸케의 운디네에서 얻었다. 슬라브 신화에 나오는 루살카는 강이나 호수 등 물속이나 물가에 나타나는 존재로 정령이라고도 하고 요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물귀신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공통점은 인간을 물에 빠트려 죽게 만든다는 점이다. 푸케의 운디네도 비슷한 맥락으로 서양 연금술에 등장하는 물의 요정 혹은 정령을 뜻한다. 슬라브 신화와 푸케의 동화책 운디네에서도 결말이 비극으로 끝이 나는데 인어공주도 마찬가지로 비극적인 결말을 맺는 동화이다. 내용 인어공주는 바닷 속 용궁에서 가족들과 ..
-
동화 [미운오리새끼] 역사 및 내용 그리고 의의카테고리 없음 2023. 1. 10. 10:00
동화 [미운오리새끼] 역사 미운오리새끼는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이 지은 동화 중 하나이다. 일전에 벌거벗은 임금님에서도 언급했으나 그는 그의 글솜씨를 알아본 국회의원 요나스 콜린의 권유로 뒤늦게 다니기 시작한 학교에서 문학을 배웠다. 그러나 그의 학교생활도 학교장과의 갈등으로 인해 순탄치만은 않았다. 학교장은 안데르센의 모든 창작 활동을 금지하고 하찮게 여겼으며, 헤어지는 순간까지 그에게 악담을 내뱉었다고 한다. 그런 일화가 미운오리새끼에 영향을 주었으며 또 10대 학생들과 같이 공부했던 안데르센이 자신을 투영해 집필했다는 관점이 많다. 1843년, 11월 11일에 동화집 《새로운 이야기들 1권(Nye Eventyr. Første Bind. Første Samling)》에 수록되어 출간되었다. 원제는 ..
-
동화 [벌거벗은임금님] 역사 및 내용 그리고 의의카테고리 없음 2023. 1. 9. 16:07
동화 [벌거벗은 임금님] 역사 1837년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이 지은 동화 벌거벗은 임금님의 원제는 덴마크어로 'Kejserens nye Klæder(황제의 새로운 옷)'이라는 동화로써, 우리나라에선 일본의 출판명이 그대로 들어오며 벌거벗은 임금님이 되었다. 덴마크가 낳은 최고의 동화작가 중 한 명인 안데르센은 어린 시절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힘든 유년시기를 겪었다. 한때 연극배우를 꿈꾸기도 하였으나 문법이나 발음이 어색해서 연극배우로 성공하지 못하여 힘들어했으나 그가 글솜씨에 재능이 있다는 걸 안 국회의원 요나스 콜린이 학교를 다시 다닐 것을 권유해 뒤늦게 문학을 배우기 시작했다. 처음엔 주로 소설을 집필하였었고 30살인 1835년부터 동화를 쓰기 시작했는데 그 당시에는 어린이를 속이는 글이나 쓴다..
-
동화 [시골쥐와 서울쥐] 역사 및 내용 그리고 의의카테고리 없음 2023. 1. 7. 14:55
동화 [시골쥐와 서울쥐] 역사 이솝우화 중 하나인 [시골쥐와 도시쥐]는 우리나라로 들어오며 [시골쥐와 서울쥐]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다. 1921년에 조선야소교서회(朝鮮耶蘇敎書會)에서 발간한 이솝우언에 [촌쥐와 서울쥐]라는 제목으로 설화가 나온다. 그러나 1885년 무렵 미국 선교사들에 의해 이솝우화가 국내에 유입되어 교육용 교재로 사용되었다는 점과 1919년에 발간된 만고기담(萬古奇談)에 동일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는 점을 보면 설화의 유입시기를 조금 앞당겨 볼 수도 있다. 우리나라에선 당시 서울이 가장 크고 발전된 도시였다. 사람들이 도시라는 이미지를 떠올리면 서울을 가장 먼저 떠올렸기 때문에 도시쥐가 서울쥐로 번역이 된 것 같다. 줄거리 어느 날 서울쥐가 시골쥐를 만나려고 시골로 놀러 갔다. 시골쥐는..
-
동화 [개미와베짱이]역사 및 내용 그리고 의의카테고리 없음 2023. 1. 6. 21:34
동화 [개미와베짱이]역사 고대 그리스의 아이소포스가 지은 개미와 베짱이의 원제는 개미와 매미였다. 여름에 노래만 부르는 매미와 겨울을 대비하여 일하는 개미의 이야기였던 것이다. 우리나라와 일본 등에 전해진 개미와 베짱이는 알프스 북부로 전파된 내용이 기준인데, 매미는 열대, 아열대, 온대에서만 서식하는 곤충이고 지중해 기후인 그리스에서도 서식하므로 고대 그리스 문헌에서도 나오긴 하지만 유럽북부에서는 그다지 익숙하지 않은 곤충이라 알프스 북부로 전해지는 과정에서 흔한 곤충인 여치로 번역되었다는 설이 있다. 그러다 어느 순간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여치가 다시 베짱이로 변해서 통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베짱이는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서 서식하므로 베짱이는 사실 정확한 번역이라고는 볼 수 없다. 그러나 보편..
-
동화 [금도끼은도끼] 역사 및 내용 그리고 의의카테고리 없음 2023. 1. 5. 12:12
동화 금도끼은도끼의 역사 우리나라의 전래동화인 줄만 알았던 금도끼은도끼는 사실 고대 그리스의 아이소포스가 지은 이솝우화에 수록된 전래동화이다. 이솝은 영어식 발음으로 그리스발음으론 아이소포스가 그의 이름이다. 그는 노예의 아들로 태어났다고 한다. 말더듬이에 곱추였다는 설이 있으나 굉장히 지혜롭고 똑똑해서 같은 계급의 하인들은 물론 주인조차 함부로 대하지 못했다고 한다. 이러한 아이소포스의 지혜를 엿본 이웃나라 철학자 크잔토스가 노예시장에 나온 아이소포스를 아주 마음에 들어 했고, 아이소포스는 크잔토스와 함께 지내며 지혜를 나눴다고 한다. 소문은 퍼져 임금의 귀까지 들어가 임금이 그에게 자유를 주었는데 아이소포스를 못마땅하게 여긴 몇몇 사람들에 의해 살해당했다고 한다. 그렇게 그가 남긴 구전동화 중 하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