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동화 [도깨비방망이] 역사 및 내용 그리고 의의카테고리 없음 2024. 3. 29. 16:01
동화[도깨비방망이] 역사 [도깨비방망이]는 당나라 단성식(段成式)이 쓴 『유양잡조(酉陽雜俎)』에 수록된 와 서사 구조가 유사하다고 하여 이를 시원으로 삼은 논의가 많이 이루어졌다. 착한 사람이 도깨비방망이를 얻어 부자가 되고, 그것을 그대로 따라한 욕심쟁이는 망한다는 내용의 민담이다. 이병기 선생의 『국문학전사(國文學全史)』에는 의 형성에도 기초가 되었다고 한다.설화 유형으로는 모방담(模倣譚)과 신이담(神異譚)에 속한다. ‘뚝딱방망이’, ‘보배방망이’, ‘도깨비와 개암’등으로도 불리며 전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권선징악의 교훈성이 짙은 설화로, 선악의 대립적 인물은 대체로 마을 사람이거나 형제로 설정된다. 일제강점기의 잔재로 도깨비의 이미지가 일본의 오니와 혼동되는 경우가 있지만, 도깨비 방망이는 원래..
-
동화 [견우와 직녀] 역사 및 내용 그리고 의의카테고리 없음 2024. 3. 21. 17:06
동화 [견우와 직녀]역사 견우와 직녀의 설화는 사실상 중국 고대설화에 나오는 이야기로 기원은 중국으로 추정되며 칠석(七夕)의 유래는 중국의 『제해기(薺諧記)』에 처음 나타난다. 주(周) 나라에서 한대(漢代)에 걸쳐 우리나라에 유입되었다. 한국에서는 광개토대왕 시절 축조한 위 고분 벽화에서 견우와 직녀를 묘사한 그림이 있다. 일본에서도 만요슈라는 나라시대 시집에서 이것과 관련한 이야기가 있다. 즉 매우 오래전부터 한, 중, 일에 퍼진 설화이다. 밤하늘에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동쪽과 서쪽으로 떨어져 있는 두 별이 있는데 그 별이 바로 견우성과 직녀성이다. 칠월 칠석날 두별이 가까워지는 것을 보고 옛사람들이 부부가 은하수(銀河水)를 사이에 두고 동쪽과 서쪽에서 1년을 헤어져 살다가 칠석(七夕 : 음력 칠월 칠..
-
동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역사 및 내용 그리고 의의카테고리 없음 2023. 5. 18. 15:56
동화 역사한국의 대표적인 전래동화 중 하나이다. 원래는 한국의 해와 달의 기원 신화였던 것으로 추정되나, 전설, 민담 등 다양한 형태로 전승된 이야기이며 지금은 동화로 많이 인식되고 있다. 줄여서 해와달 이라고도 불린다. 최초로 출판된 것은 1922년 잡지 에 실린 주요섭의 이다.내용 옛날 옛적 깊은 산속에 가난하지만 사이좋은 오누이와 홀어머니 살고 있었다. 어머니는 혼자 몇 고개를 넘어가야 나오는 먼 거리의 장터에 떡을 내다 파는 일을 하였었다. 그러던 어느 늦은 밤 팔다 남은 떡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 첫 번째 고개에서 호랑이를 만났고, 호랑이는 “떡 하나 주면 안 잡아먹지”라고” 위협했다. 어머니는 벌벌 떨며 떡을 하나 던져줬다. 그 떡을 먹고 가버린 줄 알았으나, 호랑이는 어머니가 고개를 ..
-
동화 [혹부리 영감] 역사 및 내용 그리고 의의카테고리 없음 2023. 4. 14. 14:07
동화[혹부리 영감] 역사 [혹부리 영감]에 대한 역사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이었던 강항의 『수은록(睡隱錄)』에, 일본에서는 유명한 이야기라고 기록되어 있다. '혹부리 영감'을 맨 처음 발굴해서 소개한 사람은 일본인 교사 '다카하시 도루'다. 1910년에 발행된 '조선물어집'의 서문을 읽어 보면 다카하시 도오루는 학생들과 학부모로부터 설화를 채집했다고 한다. 도깨비 담을 연구한 김종대 교수는 '혹부리 영감'이 일제강점기에 일본에서 한국으로 유입된 설화라고 보고 있다. 내용 옛날 한 마을에 마음씨착한 혹부리 영감이 살고 있었다. 어느 날 나무를 하러 갔던 혹부리 영감은 날이 어두워지자 쉴 곳을 찾아 허름한 집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점점 더 어두워지고 겁이 났던 혹부리 영감은 두려움을 없..
-
동화 [여우와까마귀] 역사 및 내용 그리고 의의카테고리 없음 2023. 3. 24. 14:42
동화[여우와 까마귀] 역사 여우와 까마귀는 이솝 우화 중 하나이며 페리인덱스 에서 124번째로 분류되어 있다.초기 라틴어 및 그리스어 버전이 있다. 이솝우화에서 여우는 교활하고 영악한 동물로 많이 묘사된다. 여우와 까마귀에서도 그렇다. 그러나 이 동화에서는 까마귀의 여리석음을 부각함에 따라 아첨을 듣는 것에 대한 경고로 사용된다. 많은 이솝우화와 마찬가지로 여우와 까마귀도 여러버전이 있는데 치즈가 고기로 묘사된 것도 있고 까마귀가 여자로 표현된 것도 있으며 여우가 까마귀의 도둑질을 눈감아주었다가 화를 입는 결말로 끝이 나는 버전도 있다. 내용 오두막 창문에서 치즈 한 조각을 훔친 까마귀는 멀리 떨어진 나무로 날아갔다. 치즈 냄새에 이끌린 여우 한 마리가 와서 나무 아래에 앉아 치즈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 ..
-
동화 [욕심쟁이 개] 역사 및 내용 그리고 의의카테고리 없음 2023. 3. 16. 12:10
동화 [욕심쟁이 개] 역사 동화 욕심쟁이 개는 이솝(아이소포스) 우화 페리인덱스 3.33번에 분류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896년 출간된 소학교 교과서인 신정심상소학(新訂尋常小學)에 욕심많은 개로 수록되어 들어온 것이 처음이며 현재는 욕심쟁이 개, 고기를 물고가던 개 등으로 번역되어 알려져 있으며 영어로는 The greedy dog 이란 제목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내용 어느날 욕심 많기로 소문난 개 한 마리가 커다란 고깃덩어리를 발견했다. 신이 난 개는 혼자 멀리 가서 먹으려고 커다란 고깃덩어리를 물고는 냉큼 달려갔다. 얼마쯤 갔을까 다리 위를 건너던 개는 깜짝 놀랐다. 물속에 웬 개가 커다란 고깃덩어리를 물고 있는 것 이 아닌가? 그 개가 자신일 거라곤 생각도 못한 욕심쟁이 개는 저것도 빼앗아 먹..
-
동화 [소금 나르는 당나귀 ] 역사 및 내용 그리고 의의카테고리 없음 2023. 2. 27. 18:11
동화 [소금 나르는 당나귀] 역사 동화 소금 나르는 당나귀는 이솝(아이소포스) 우화 중 하나로써 페리인덱스 C#265에 해당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소금 나르는 당나귀, 소금을 나르는 당나귀, 게으른 당나귀, 꾀를 부린 당나귀 등 여러 제목으로 불리며 판본에 따라서 당나귀가 죽음을 맞이하는 결론도 있고 순화되어 꾀를 부리다 호되게 당하고 주인의 도움으로 살아남는 내용도 있다. 내용 한마을에 아주 게으른 당나귀가 살고 있었다. 그 당나귀는 가벼운 것을 들던 무거운 것을 들던 일을 할 때마다 불만을 얘기하며 일을 하였다. 어느 날 당나귀는 소금가마를 등에 지고 주인과 함께 개울가를 지나가고 있었다. "어휴 무거워... 너무 무거워서 조금도 걷고 싶지 않아....." 혼잣말을 하며 걷던 게으른 당나귀가 순간 발을..
-
동화 [말과 당나귀] 역사 및 내용 그리고 의의카테고리 없음 2023. 2. 22. 14:35
동화 [말과 당나귀] 역사 말과당나귀는 이솝(아이소포스)우화 중 하나로써 페리인덱스 c#141에 해당한다. 일전 두 친구와 곰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이솝우화는 동물들을 주인공으로 한 짧은 내용이 많다. 우화 중 말과당나귀는 교훈을 얻을 수 있는 내용이지만 이솝우화에는 세상을 사는데 필요한 처세술에 대한 이야기도 꽤 많은 편이다. 내용 옛날 한 짐꾼은 말과 당나귀를 모두 데리고 길을 나섰다. 당나귀의 등에 무거운 짐을 잔뜩 싣고 말 위에는 아무것도 싣지 않은 채 길을 걷고 있었다. 너무 무거운 짐을 들고 가던 당나귀는 힘에 부쳐 말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말아... 짐이 너무 무거운데 나랑 좀 나누어 들어줄 수 있겠니?" 당나귀의 얘기를 들은 말은 무거운 짐을 나누어 들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나도 힘들어..